https://www.youtube.com/watch?v=K3yeH8K5zMw
해당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1. 답정너 이론
회사는 어떤 사람을 뽑고 싶은지 이미 정해놓고 공고를 올린다.
포트폴리오와 이력서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어필하는게 아니다.
어떤 걸 어필하고 소개해야 되는지는 이미 정해져 있다.
즉, 내가 보여주고 싶은 모습을 보여주는게 아니라 회사에서 원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그렇다면, 회사의 인재상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채용공고의 지원 자격과 우대 조건을 확인하면 어떤 사람을 뽑고자 하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
- 인재상, 채용설명회도 마찬가지!
이렇게 공고를 분석하고 나서 회사가 듣고 싶은 말을 이력서와 포트폴리오에 녹여내자.
2. 마피아 게임 이론
거짓말로 자신을 표현하는 사람을 마피아라고 한다. 우리는 이런 마피아가 되지 않기 위해
증명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증빙할 수 있어야 한다.
블로그, 대외활동, 수상경력, 활동사진과 같은 자료를 통해 증명해야 한다.
의심의 눈초리를 갖던 면접관들의 마음을 조금씩 사로잡는 행동을 통해 서류 합격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3. 오징어 게임 이론
합격은 상대적이다. 남들보다 조금만 더 뛰어나면 합격이다. 이는 곧 차별성을 말한다.
"과연 다른 사람들은 이 경험을 갖고 있을까?"라는 생각을 해야 하며, 이는 1번 답정너 이론에 부합하는
경험이어야 한다!
4. 추상어의 저주
우리는 2번과 3번을 통해 어떻게 면접관들에게 서류로 어필해야 할지에 대해 방향성을 잡았다.
나의 행동과 결과물이 의심받지 않도록 하며, 차별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지킬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 추상어를 쓰지 않는 것이다.
- 저는 공부를 열심히 하는 사람입니다. -> 추상적이다. 매우 주관적이다.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가 더 드러나야 됨. (구체적)
- 저는 기록을 꾸준히 하는 사람입니다. -> 꾸준히도 주관적이다.
- 꾸준히 -> 블로그에 하루 동안 배운 내용을 6개월 째 꾸준히 빠짐없이 작성하고 있습니다. (훨씬 구체적이고, 차별화되어 보임)
추상어를 안쓰다보면 자연스럽게 2번과 3번 이론을 지키게 된다.
5. 다다익선의 역설
어필할게 많으면 좋다고 생각한다. 내 경험들을 전부 나열하면 안된다.
애매한 프로젝트 5개 보다 깊게 경험한 1~2개가 더 낫다.
애매한 것 5개보다 확실한 장점 1개만 있는게 제일 좋다.
'My thoug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CODE 데이터베이스 스터디 8기 회고 (0) | 2025.02.04 |
---|---|
우아한테크코스 2연속 서류 탈락을 한 뒤에 쓴 회고 글 (0) | 2024.12.09 |
언어보단 그림을 (0) | 2024.08.28 |
2024 상반기 ICT 인턴십 코딩테스트 및 지원 회고 (0) | 2024.02.10 |
2023 개발공부 회고록 (1) | 2023.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