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월 3일부터 31일까지 5주 동안 참여했던 JSCODE 데이터베이스 스터디에 대한 회고를해보고자 합니다!스터디에 참여하고자 하는 분들께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을 담아보았습니다.1. 참여하게 된 계기저는 정보통신 계열 학과생으로서 컴퓨터네트워크, 자료구조 관련 수업은 들었으나, 데이터베이스 수업은 한 번도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백엔드 개발자를 희망하지만 부끄럽게도 인덱스나 트랜잭션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래서 늘 프로젝트를 하다가도 데이터베이스 관점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 접근조차 못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러던 찰나에 JSCODE에서 데이터베이스 스터디를 5주 동안 진행한다는 공고글을 보고, 이번에야말로 꼭 극복해야겠다고 생각하며, 참여하였습니다. 2. 스터디 진..
1. NIC란NIC, Network Interface Card는 MAC주소로 식별되는 하드웨어 장치입니다.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하드웨어에 필수로 존재해야 하는 장치입니다. 주로, LAN 카드라고도 부르나 NIC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으니 두 용어를 모두 알고 있으면 현업에서 유용할 것입니다.NIC는 AWS의 EC2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using-eni.html 탄력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
웹 서비스를 구동하였을 때, 이것이 잘 동작하는 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Ping 테스트Port 테스트Http Status 테스트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중 첫 번째인 Ping 테스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참고로 위 세 가지를 꼭 순서대로 진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특정 테스트를 했을 때, 문제가 발생했다면 이것이 서버의 문제인지 네트워크의 문제인지를 파악하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1. Ping 체크를 하는 이유Ping 명령어는 ICMP 프로토콜을 사용해 대상 서버에게 보내 IP 주소만으로 서버에 연결이 가능한지에 대한 피드백을 얻는 방법입니다.ping 명령은 호스트나 게이트웨이로부터 ICMP ECHO_RESPONSE를 확보하기 위해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
목차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했을 때1. 로컬 PC의 hosts 파일 검색hosts 파일이란?디도스2. 로컬 DNS 캐시3. DNS 서버 쿼리로컬 DNS 서버상위 DNS 서버에 질의참고 자료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했을 때크롬 브라우저에서 www.naver.com을 입력하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까?우리에게는 1초도 안되는 시간이지만 그 사이에 많은 일들이 일어난다.먼저 https://whxogus215.tistory.com/126 에서 호스트 네임과 도메인 네임을 정리하였다.따라서 우리는 naver.com이라는 도메인 네임으로 접속을 하며, 그 중 www라는 이름을 갖는 서버의 리소스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웹 서비스에서 서버에 리소스를 요청하는 HTTP 통신의 근간은 TCP/IP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버의 ..
Network - 웹 서비스 구조 확장목차Network - 웹 서비스 구조 확장HTTP 1.0 시절 웹 서비스 통신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의 근간정적인 문서에 동적 요소를 추가 - JavaScriptJavaScript는 서버에서 생성되지만 클라이언트에서 실행된다(중요)CORS에 대해서WAS(Web Application Server)와 MVC 아키텍처의 등장서버에서 View 의존성이 제거되다참고 자료HTTP 1.0 시절 웹 서비스 통신버너스리가 고안한 HTML 문서는 화면에 필요한 정보를 구조화하여 보여줄 수 있는 최초의 기술이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데이터를 문서에 작성하고, 이후에 이미지가 추가되며, 디자인을 입히는 CSS가 추가되기도 하였다. 어쨌든, 이러한 정적 파일을 사용자가 요청하면 반환할 ..
Network - 웹 서비스 구조목차Network - 웹 서비스 구조URL과 URIURL의 특징호스트 네임과 도메인 네임호스트 네임도메인 네임서브 도메인과 호스트 네임참고 자료URL과 URI웹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웹 서비스의 흐름에 필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URL : Uniform Resource IdentifierURI : Uniform Resource Locator우리가 웹 서비스를 사용할 때, 변하는 모든 것들은 자원(Resource)이라고칭할 수 있다.마이페이지 조회 : 서버에게 내 정보라는 자원을 요청한다.콘서트 좌석 예매 : 서버에게 내가 보고 싶은 공연의 좌석이라는 자원을 저장할 것을 요청한다.결론부터 말하자면, URL은 URI이지만, URI는 무조건 URL이라 할 수는 없다.refs)..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