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프로젝트는 https://www.inflearn.com/course/%EC%9B%B9%ED%81%AC%EB%A1%A4%EB%A7%81-%EC%B6%95%EA%B5%AC%EC%84%A0%EC%88%98%EB%B6%84%EC%84%9D#curriculum [무료] [Python 실전] 웹크롤링과 데이터분석 : 전세계 축구 선수 몸값 분석 - 인프런 | 강의 손흥민 통산 100호골 기념 프로젝트! 트랜스퍼마켓(Transfermarkt) 실전 크롤링 & 데이터 분석,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강의를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파이썬 웹크롤링의 기본적인 requests와 bs4를 이용하였으며, 데이터를 구조화하는데 있어서 pada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였다. import requ..
이 프로젝트는 카카오 OpenAPI를 사용하여 나에게 카카오톡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젝트이다. REST API를 사용한 카카오 로그인 과정 카카오 인증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선 '인가 코드'와 '토큰'이 필요하다. 카카오 메시지 API 사용 권한을 받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requests 라이브러리로 해당 url과 통신할 때 data에 인가 코드를 담아 요청하면 토큰을 발급받을 수 있다. import requests url = "https://kauth.kakao.com/oauth/token" data = { "grant_type" : "authorization_code", "client_id" : "", "redirect_uri" : "https://localhost.com", "code" : "" } ..
상대경로란 말그대로 상대적인 경로이며, 내가 작업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절대경로란 내가 작업하는 위치와는 상관없이 절대적인 경로를 설정하며, 변하지 않는 경로이다. Hello.txt라는 파일이 있을 때, 절대경로 : C:\Users\user\Desktop 상대경로 : (현재 위치가 Users 폴더일 때) user\Desktop 즉, 내가 작업하는 위치에 따라 경로가 결정된다! 파일을 읽거나 쓸 때 경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코드는 대부분 상대경로로 작성되어 있다. 절대경로를 사용한다면 그 코드를 사용하는 모두가 해당 경로에 해당하는 디렉토리가 존재해야 한다. ex. C:\Users\user\Desktop 로 경로가 작성될 경우 사용자 모두가 C 드라..
1. BFS로 풀었을 때 #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667 # 백준 2667번 : 단지번호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um = int(input()) # 스페이스바 없이 출력 : https://lifeignite.tistory.com/51 graph = [list(map(int, input())) for _ in range(num)] # map 객체의 index에 접근하려먼 list형으로 캐스팅해줘야 한다! # 좌표 값 설정 dx = [0,0,1,-1] dy = [-1,1,0,0] # 단지 수 house_num = 0 # 단지 수 배열 house_array = [] # BFS : 1이 있을 때 그와 인접한 노드들을 방문 (1이 없을..
#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606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백준 2606번 : 바이러스 n = int(input()) m = int(input()) #adjacent 배열로 구현 # computers=[[0]*(n+1) for _ in range(n+1)] # for _ in range(m): # a,b = map(int, input().split()) # input한 값들을 int 함수로 바꿔주는 map 함수로 구현 # computers[a][b] = 1 # computers[b][a] = 1 # 풀이 : https://velog.io/@wjdtmdgml/%EB%B0%B1%EC%A4%80%EB%B0%94%EC%9D%B4%EB%..
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코드를 간결하고 깔끔하게 작성하는 것 만큼 중요한 작업이 하나 있다. 바로 내가 작성한 코드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실제 개발 환경에서는 계속해서 코드가 수정되고 이에 따라 예상 값과 실제 값이 다르게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그저 단순히 print해서 결과 값을 확인한다면 간편하긴 하지만 그 경우가 많아질 경우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다. 이때 이러한 과정을 하나의 클래스를 통해 True/False를 알 수 있다면 훨씬 편할 것이다. 여러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함으로써 코드를 테스트하는 과정을 유닛 테스트(Unit Test)라고 한다. import unittest def double(a): return a * 2 class TestDouble(uni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