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

EC2란 Elastic Compute Cloud(ECC -> EC2)로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상품의 여러 종류 중 하나이다.

 

AWS 홈페이지 제품 란

AWS에는 다양한 상품들이 종류하며, 현재 175개가 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서비스 마다 사용자의 환경, 수준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세부 사항들이 있으며, EC2에도 스토리지, AMI 등 여러 부분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니즈에 맞게 여러가지 형태의 컴퓨팅 자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탄력적인, Elastic Cloud Compute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EC2는 AWS의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자원 중 하나로 리눅스, 윈도우 등 다양한 인스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인스턴스란 ec2가 실행된, 하나의 만들어진 가상서버이다. 쉽게 표현하자면 가상의 컴퓨터라고 생각하면 된다.

인스턴스를 생성(여기서는 시작한다고 한다.)한다는 것은 하나의 가상 컴퓨터를 사용하겠다는 뜻이다.

 

EC2를 생성한다면 선택해야 하는 필수 옵션 중 하나가 바로 AMI이다. AMI란 Amazon Machine Image로 아마존 가상머신의 이미지를 말한다. 여기서 이미지는 사진이라는 뜻이 아니고, 우리가 사용할 인스턴스, 즉 가상 머신에 탑재될 설치 프로그램들의 총집합을 뜻한다. (운영체제, 개발 도구 등) 따라서 EC2의 유형과 함께 AMI를 알맞게 설정한다면 개발을 좀 더 쉽고 원활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필요한 프로그램을 일일이 설치하지 않아도 됨)

 

인스턴스 생성 시 AMI 선택 창

키 페어는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열쇠 파일을 말한다. 집 도어락을 열 수 있는 비밀번호 혹은 집 키와 같은 개념이다. 인스턴스에 접근한다는 것은 또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비밀번호가 있어야 한다. 없어도 액세스가 가능하지만 AWS에서는 만드는 것을 권장한다. 키 페어의 파일 형식은 윈도우 기준 ppk, 맥OS에서는 pem 이다.

 

인스턴스 생성 시 키 페어 생성 창

인스턴스는 작업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중지했다가 재실행도 가능하다. 인스턴스를 종료(Terminate)할 경우 인스턴스는 삭제되고, 복구가 되지 않는다.

 

EC2 인스턴스는 private ip와 public ip를 보유하고 있다. 만약 인스턴스를 중단 후에 재실행을 한다면 public ip는 변경이 된다. ip는 유한한 자원으로, 사용하지 않을 시 다른 네트워크로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영구적인 ip를 얻기 위해서는 Elastic ip를 사용하면 된다. 네트워크 보안 설정에서 Elastic IP를 얻고 이를 해당 인스턴스와 연결하면 기존의 public ip가 Elastic ip로 변경된다.

 

IP는 주소이므로, 갑자기 변경이 되어 버리면 서비스 제공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인스턴스의 실행 유무와 관계없이 IP가 변경되면 안될 때 사용하는 것이 Elastic(탄력적) IP이다.

 

MobaXterm 세션 생성 창

가상 클라우드 컴퓨터와 접속하기 위해서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putty, mobaxterm 등이 있다.

윈도우의 경우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aws 콘솔에서 키 페어를 암호로 변환하여 바로 접속이 가능하다.

하지만 ubuntu 인스턴스를 만든 경우에는 별도의 보안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해야 한다.

 

Remote host는 Public IP를 입력하는 란이다. 외부에서 ec2에 접속하려면 Public IP를 입력해야 한다.

Specify username은 AMI 마다 다르므로 AWS 홈페이지를 참고한다.

 

AWS EC2의 경우, 겉보기엔 굉장히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 따라해보면 간단하다. AWS에 대해 깊이 공부하면 세부적인 설정들을 할 수 있지만 처음하는 경우에는 건드릴 만한 게 많이 없다.

 

자료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lctfw9oQLrk&t=1032s 

 

'CS >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 주요 용어  (0) 2022.08.29
클라우드 컴퓨팅의 종류  (0) 2022.08.29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0) 2022.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