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은 위 영상을 토대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예시와 함께 설명 되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무엇인가?
- 클라우드 컴퓨팅은 네이버 클라우드, i Cloud 같이 나의 데이터를 내가 관리하는 것이 아닌 다른 곳에다가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즉,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IT 리소스가 존재하며, 이에는 CPU, RAM, 네트워크 등등이 있다. 우리가 그린카나 쏘카를 사용하면 필요한 만큼 차를 대여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클라우드 또한 비슷한 사업구조로 되어있다.
2. 클라우드의 추상적 의미
- 클라우드는 말 그대로 구름이라는 의미로, 과거에 인터넷에 대한 정의를 할 때 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연결하는 인터넷이라는 복잡하고 거대한 개념을 구름이라는 넓고 모호한 추상적인 형태로 표현할 수 있었다. 앞서 말한 IT 자원들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구름과 같은 거대하고 자세하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다.
3. 클라우드 서비스 - X As A Service
- X As A Service란 서비스를 임시적으로 대여하는 것이다. 넷플릭스, 쏘카, 에어 비앤비 등 여러 서비스 대여 사업들이 이에 해당한다. 기존에 프로그램을 동작하고 운영하기 위해서 정해진 개수의 서버를 구입하고 관리하는 대신에 필요한 만큼의 서버를 클라우드를 통해 대여하여 유기적이고 빠르게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실제 넷플릭스가 7년이라는 과정을 거치며 사내 데이터센터를 AWS라는 클라우드로 옮긴 뒤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다양한 컨텐츠 및 고객들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4.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 4가지
- On Demand : 수요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우리가 도서관에 직접 가서 책을 빌린다면 직접 가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해당 책이 없을 경우 헛걸음하는 경우가 생긴다. 하지만 책을 직접 배송해주는 서비스나 전자 E북을 대출하는 경우엔 내가 직접 가지 않아도 서비스를 주문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비디오 또한 마찬가지로 VOD (Video On Demand)로 내가 원할 때 언제 어디서나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받아 편하게 집에서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클라우드 또한 필요한 IT 자원을 원할 때 언제든지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On Demand 방식이다.
- 대규모 확장성 : 우리가 만든 서비스가 갑자기 트래픽이 증가하여 정해진 서버 용량을 초과할 때 클라우드 방식을 사용하면 유기적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가 미리 구축해둔 서버를 대여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서버 규모를 확장시킬 수 있다.
- 종량제 과금 : 대규모 확장성과 마찬가지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만큼 즉, 사용자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IT 자원을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
- 관리의 편의성 : 서버를 구축하고 네트워크를 직접 관리한다면 다양한 전문가가 필요하다. 이는 규모에 따라 엄청난 인건비를 필요로 할 수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러한 관리를 전문 사업자에게 넘기는 대신 사용료를 지불하는 방식이므로 좀 더 효율적이고 비용을 아낄 수 있다.
'CS >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0) | 2022.09.16 |
---|---|
클라우드 컴퓨팅 주요 용어 (0) | 2022.08.29 |
클라우드 컴퓨팅의 종류 (0) | 2022.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