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는 대학에서도 전공과목으로 배울 정도로 내용이 광범위하다. 따라서 실습 위주인 이 강의에서는 자료구조에 대해 깊고 자세하게 다루지는 않는다. 그저 주로 사용하는 자료구조의 특성과 장단점, 사용법만 짚고 넘어가는 정도다. 1. List(배열) Tuple 여러 개의 element를 담고 싶을 때 element를 순서대로 담고 싶을 때 변수 안에 있는 내용물을 수정하고 싶을 때 list = 내용물을 바꿀 수 있는 자료구조 : mutable - 수정이 가능할수록 버그 가능성이 높음. ex) 게임을 개발하면서 x라는 변수에 유저가 가진 이름과 레벨을 저장했는데 잘못된 자료구조를 쓰면 유저의 레벨이 갑자기 버그로 인해서 바뀔 수가 있다. tuple = 내용물을 바꿀 수 없는 자료구조 : immutable -..
파이썬 강의로 문법을 가볍게 훑었는데 확실히 변수를 사용하고 처리하는데 있어서는 자바보다 훨씬 수월하고 간단한 것 같다! 정적언어인 자바에 비해 동적언어인 파이썬은 일일이 변수에 Type을 선언하지 않아도 알아서 결정해주니까 훨씬 더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장점이 있는 만큼 예상치 못한 Type이 들어가 에러를 발생시킬 가능성도 있을 것 같다. 정적언어 : 소스코드에 직접 자료형을 지정해야 하며, 이는 컴파일 시 결정된다. 컴파일 시 자료형이 결정되므로 속도가 빠르고, 타입의 안정성이 높다. 동적언어 : 변수의 값에 따라 스스로 자료형이 지정되며, 이는 실행 시 결정된다. 자료형이 알아서 결정되기 때문에 개발에 있어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참고 : https://redthing.tist..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