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타입은 크게 두 가지로 Primitive와 Reference가 있다. Primitive는 변수에 저장되는 값이 입력한 값 그대로 저장이 된다. 예를들어 숫자나 문자 혹은 문자열 같은 경우, 변수에 저장했을 때 그 데이터가 이진수로 변환되어 변수라는 메모리 공간에 그대로 저장이 된다. 하지만 Reference 타입의 경우 해당 데이터가 그대로 변수에 저장되지 않는다. 그 데이터를 가리키는(참조하는) 주소를 저장한다. Reference 데이터 타입의 대표적인 예는 Array와 Object이다. 1. Primitive / Reference 값 복사 // Primitive data type 복사 특징 var 이름1 = '김'; var 이름2 = 이름1; // 복사 console.log(이름2); // '..
C, 자바, 파이썬 등 여러 언어들을 찍먹(?) 해봤지만 자바 스크립트 만큼 문법에 있어서 유연한 언어는 없는 것 같다. var 변수만 보더라도 논리적인 오류들을 전부 눈감아주는 희한한 언어다. 함수에서도 파라미터를 받을 경우 한 두개를 빼먹더라도 에러 없이 정상적으로 함수가 동작한다. 1. 함수의 파라미터 Default 값 설정 function 함수(a,b,c){ return a+b+c } 함수(1,2) // 1+2 위의 경우 필요한 파라미터는 3개지만 전달받은 건 2개밖에 안된다. 즉, c를 빼먹었음에도 함수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이 때 빼먹은 c의 경우는 undefined(정의되지 않은 값)로 처리되어 나머지 전달받은 값만 처리한다. 이처럼 파라미터를 빼먹었을 경우에 undefined가 아닌 기본..
문자열을 작성하는 방법으로는 ' ' 나 " "를 주로 사용한다. 이 두가지 이외에도 ` `(backtick, backquote)라고 하는 esc 버튼 바로 밑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 `를 사용하면 줄바꿈을 쉽게 사용하여 문자열을 만들 수 있으며, 중간에 변수를 넣는 template을 사용할 수 있다. 1. ` `의 장점 (Template Literal) 문자열의 줄바꿈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중간에 변수를 넣어 출력할 수 있다. html 태그를 묶어서 담을 수 있다. var 문자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var 소개 = `안녕하세요 ${문자}.` var 템플릿 = `${문자}` 2. Tagged Literal 문자나 문자열을 특정 단위로 쪼개서 재배열하거나 다양한 조합을..
자바스크립트에서는 var라는 변수를 사용하는 코드들을 많이 접하였다. 그래서 자바스크립트 변수는 var만 있는 줄 알았다. 하지만 let이라는 변수가 등장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var 보다는 let 사용을 권장하였다. var, let, const의 기능과 범위 등에 대해 살펴보고 그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변수의 선언과 (재)할당이란? 변수를 선언한다는 것은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을 생성하는 것과 같다. 할당이란 선언한 변수 공간에 데이터를 집어 넣는 것이다. 재할당은 기존에 할당된 데이터를 바꾸는 것이다. 변수 종류 재선언 재할당 var 가능 가능 let 불가능 가능 const 불가능 불가능 let은 값을 다시 바꿀 수 있지만 기존에 선언된 변수를 다시 선언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변수 이름을 중복..
Arrow Function은 기존 자바스크립트의 함수 선언법을 보다 간결하게 만든 새로운 문법이다. 함수로서의 동작은 동일하나 일부 차이점이 있으니 사용 시 유의해야 한다. 0. 함수를 사용하는 용도 코드들을 하나의 기능으로 묶고 싶을 때 사용한다. 입출력하는 기능을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한다. 1. 자바스크립트 함수 선언 방법 1. function 함수(){} 2. var 함수 = function(){} 함수만을 선언하거나 변수에 함수를 담아도 된다. 1-2. ES6 함수 선언 방법 var 함수 = (x) => { return x + 10 } // 1. 함수를 만들 때 보기 쉽다. var 함수 = x => { return x + 10 } // 2. 파라미터가 한 개일 때는 소괄호 생략 가능 var 함수 ..
먼저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되는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브라우저가 HTML 내의 Script 태그를 읽을 때 window라는 global object를 읽어온다. 우리가 작성한 Script 태그에 있는 여러 변수와 함수들은 이곳에 저장되어 있다. 1. this를 그냥 출력하거나 함수에서 사용할 때는 window를 출력한다. 2. 'use strict'의 경우 함수 안에서 사용하는 this는 undefined 이다. 3. object 자료형 내의 함수에서 this를 사용하면, this는 그 함수를 포함한 object를 가리킨다. var 오브젝트 = { data : 'Jo', 함수 : function(){ console.log(this) } } 오브젝트.함수(); => {data : 'Jo', 함수 : f..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