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도커
1) 도커는 컨테이터 생성을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도커를 사용하면 CPU와 메모리의 할당량이 각각 격리된 컨테이터라는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리눅스 커널의 cgroups, namespace 기능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cgroups : 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여 완전히 격리된 가상 공간을 제공한다. namespace : 파일시스템, 사용자 계정 등을 호스트 OS(하드웨어에 설치된 OS)와 분리시킨다. 도커를 활용하면 이러한 리눅스 커널 기능들을 활용한 격리 공간, 컨테이너를 쉽게 생성 및 관리하도록 돕는다.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한 전가상화, 반가상화와는 다르게 하드웨어에 설치된 OS가 한 개밖에 없다. 기존의 가상화 기술에서는 호스트 OS(하드웨어에 설치된 ..
- DevOps(AWS, Docker, Linux, etc)/Docker
- · 2024. 1. 25.

1. 가상화 기술
1) 가상화 의미 가상화(Virtualization)는 서버에 독립된 OS들을 설치하고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물론 가상화는 쓰이는 분야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다르다. 어쨌든 한정된 자원을 활용하여 여러 논리적인 시스템을 구성(그 반대도 포함)하는 것이 가상화의 핵심이다. 백엔드에게 있어서 가상화는 친숙하며 필수적인 존재이다. 가상화된 서버를 대여하고, 가상화 된 여러 OS를 다룸으로써 효율적인 비용으로 가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2) 서버 가상화 종류 가상화 중에서도 서버를 가상화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보았다. 먼저, 하드웨어를 가상화하는 것으로 하드웨어 에뮬레이션이라고 부른다. 이는 하드웨어라는 물리적인 장치 위에 여러 가상화된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로 구..
- DevOps(AWS, Docker, Linux, etc)/Docker
- · 2024.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