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라는 책을 읽으면서 새롭게 알게된 점, 그리고 우아한테크코스 7기의 프리코스 마지막 미션 편의점을 수행하면서 느낀 점을 함께 적어보고자 합니다. 한 편의 독후감이자 회고가 될 수 있겠네요. 1. 어떠한 관점으로 객체를 바라볼 것인가?필자는 객체를 그저 인스턴스의 한국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클래스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실제 힙 메모리에 할당되는 데이터라고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이 책에서 언급하는 객체에 대한 하나의 오해였다는 걸 깨달았습니다.객체지향에서의 제대로 객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나무가 아닌 숲을 봐야만 합니다. Car라는 클래스를 통해 생성한 객체를 바라본다면, 그 객체가 갖고 있는 필드 혹은 메서드에만 집중해서는 안됩니다.그 객체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어떠한 책임..
해당 글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테스트 책을 참고하여 작성한 내용이며, 실무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 JIRA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업무를 부담없이 관리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습니다. 프로젝트 관리와 요구사항에 집착하게 된 이유작년에 처음으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서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몰라 방황한 적이 많았다. 대학생끼리 진행하는 팀 프로젝트에서는 보통 기능 구현하는 것에 많은 신경을 쓰게 된다. 지금 당장 눈에 보이는 결과물이 있어야 마음이 편안해지며, 무엇보다 재미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요도가 낮은 기능에 시간을 할애하여 정작 중요한 기능이 누락되거나 기한 내에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프로젝트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누군가는 프로젝트 관리에 신경써야 한다...
요구사항을 작성하는 것은 늘 어렵다. 왜냐하면 제대로 배워본 적이 없고, 남들이 쓴 요구사항을 볼 때마다 형식이 다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요구사항을 작성하는 그 이유에 대해 주목하기로 하였다. 분석단계는 요구사항이 무엇인지(what) 정의하는 과정이고, 설계 단계는 요구사항을 어떻게(how) 구현하는지를 정의하는 과정이고, 개발 단계는 요구사항을 시스템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conversion)하는 과정이고, 테스트 단계는 요구사항이 제대로 구현되었는지를 검증(verification)하고 확인(validation)하는 과정이다. 실용주의 소프트웨어 개발 37P 그렇다. 요구사항을 작성하는 것이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 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