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컴퓨터를 공부하는 가장 좋은 방법, 다나와(코어와 쓰레드 차이)

다나와에는 컴퓨터를 비롯한 여러 전자제품에 대한 정보들이 다 나와있다. 그런데 각각 부품의 용어에 대한 설명도 매우 자세하게 나와있다. 나는 그동안 이 기능을 활용하지 못했는데, 오늘 강의를 들으면서 다나와에서 제공하는 유용한 기능에 대해 알게 되었다.

etc-image-0
다나와 CPU 상세정보

CPU의 상세정보에 들어가보면 이처럼 해당 용어에 대한 설명을 확인해볼 수 있다. 필자는 코어와 쓰레드에 대해 늘 혼동하고 헷갈려했다. 하지만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나만의 방식으로 정리를 해보고자 하였다.

 

코어

CPU는 중앙처리장치로써, 컴퓨터의 연산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부품이다. 그리고 그 안에 들어있는 코어는 하드웨어의 기본적인 연산 및 계산 작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처리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클럭이다.

기존에는 하나의 다이에 하나의 코어만 있었으나, 현재는 하나의 다이 또는 2개의 다이에 여러 개의 코어가 있는 멀티 코어 형태로 존재한다. 여기서 다이란, CPU의 회로기판의 가운데에 있는 유리기판 같은 작은 사각형 부분을 말한다. 이 안에 CPU의 모든 회로가 압축되어 있다.

etc-image-1
가운데 유리처럼 보이는 부분이 CPU의 다이

코어는 세대에 따라 진화하고 발전하였다. 따라서 그 용어도 계속해서 변화하였다. 듀얼코어, 트리플코어, 쿼드코어, 헥사코어 등 그리스-라틴어 접두어를 붙여서 사용하였다. 허나 코어 개수가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명명법에 혼동이 생기자 단순 숫자 표기를 통해 코어를 표기하곤 한다. (ex. 4코어, 6코어, 10코어 등)

 

쓰레드

쓰레드란 CPU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이다. 논리적 단위라는 말은 OS 위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는 실질적인 주체라는 뜻이다. 따라서 하드웨어 관점에서의 논리연산 주체가 코어라면 소프트웨어 관점에서의 논리연산 주체는 쓰레드인 것이다. 실제로 윈도우즈 환경에서 작업 관리자를 통해 프로세스의 정보를 확인해보면 코어 단위가 아니라 쓰레드 단위로 정보가 표기되고 있다.

etc-image-2
물론 이는 OS에서 관리하는 쓰레드이기 때문에 실제 CPU 정보에 표기된 쓰레드 수와는다르다.

인텔의 경우, 하이퍼쓰레딩이란 기술을 활용해서 하나의 코어에 쓰레드를 두 개로 분리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코어를 활용했을 때 보다 더 효율적으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여러 작업을 병렬적으로 처리하는 멀티 태스킹이 가능한 이유이기도 하다.

etc-image-3etc-image-4
OS는 하나의 CPU를 두 개로 인식하여 동시에 2개의 서로 다른 연산을 처리한다. 이는 2개의 CPU를 쓰거나 코어가 2개인 것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인터페이스, 주변 기기들을 연결하는 단자, 접점

컴퓨터는 하나의 기기로써 동작하지 않는다. 우리가 사용하는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모니터 등등 여러 제품들과의 연결을 통해 컴퓨터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게 된다. 즉, 주변기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접점이 필요하고 우리는 이를 단자라고 한다.

etc-image-5
메인보드는 USB, HDMI, VGA 등 여러 단자들을 갖고 있다.

하지만 컴퓨터 공학적인 면에서(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단자라는 표현 보다는 인터페이스라는 표현을 더 사용한다. 인터페이스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봤을 때는 주변기기들을 연결하는 메인보드의 단자이다.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봤을 때는 여러 프로그램들이 서로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는 하나의 논리적인 연결점, 단자가 된다. USB, HDMI 단자만 봐도 알 수 있듯이 각 단자마다 포트의 크기, 모양, 사용된 기술 표준이 다르다. 따라서 여러 기술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해당 게시글의 출처 :
https://www.inflearn.com/course/%EB%84%93%EA%B3%A0%EC%96%95%EA%B2%8C-%EC%BB%B4%EA%B3%B5-%EC%A0%84%EA%B3%B5%EC%9E%90/dashboard

 

넓고 얕게 외워서 컴공 전공자 되기 - 인프런 | 강의

넓고 얕게 외워서 컴퓨터 공학 전공자가 되고 싶은 모든 비전공 초보자를 위한 강의입니다.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등 컴퓨터 공학 전공 필수과목에서 어떤 것을 배울 수 있는지 빠른 시간에 알

www.inflearn.com

https://www.ilovep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7 

 

CPU '다이'에서는 찍어치기 금지! PC사랑 용어사전 - 스마트PC사랑

린필드/클락데일의 칩셋 대화 창구 DMI린필드와 클락데일은 CPU 내부에 메모리 컨트롤러와 그래픽버스를 두어 QPI처럼 외부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시스템 버스가 필요 없다. 이들 CPU에는

www.ilovepc.co.kr

https://dpg.danawa.com/mobile/news/view?boardSeq=63&listSeq=4691992 

 

요즘 메인보드는 이렇다, 간편 BIOS 업데이트와 다양한 부가기능, 최신 CPU 적극 지원까지

  PC를 꾸밀때 CPU, 그래픽카드, 메모리와 같은 성능적인 하드웨어가 큰 주목을 받긴 하지만, 실상 이들의 성능을 제대로 끌어내기 위해서는 밑바탕이 될 메인보드가 안정적이고 탄탄하게 받쳐주

dpg.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