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의 상속은 자바의 상속과 유사한 개념이다.
하위 클래스(상속을 한)는 상위 클래스(상속을 받은)의 함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클래스에서 여러 종류의 클래스를 나눌 때 주로 사용한다.
역시나 파이썬 답게 사용법은 굉장히 간단하다.
class Person: #사람 클래스
# __init__() 함수는 constructor(생성자) 함수로써, 클래스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오브젝트가 가져야하는 속성들을 지정해줘야 할 때 사용한다.
def __init__(self, name, age):
self.name = name # 여기서 왼쪽의 name은 변수값 name과 다름, 그저 속성값의 이름일 뿐
self.age = age
def say_hello(self):
print("안녕 나는 " + self.name + "이고 " + str(self.age) + " 살이야")
p = Person("태현",20)
p.say_hello()
#상속
#상속한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 Programmer는 Person을 상속하는 클래스다
class Programmer(Person):
def code(self):
print("나는 코딩을 한다")
class Chef(Person):
def cook(self):
print("나는 요리를 한다")
c = Programmer("민희",20)
c.say_hello()
c.code()
클래스의 인자에 상위 클래스를 넣어주면 된다!
여기서 __init__() 함수는 생성자로써, 생성되는 오브젝트가 가지는 속성들을 지정하는 함수이다.
그리고 self란, 클래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브젝트를 가리키는 단어로, 클래스의 함수 인자에 포함된다.
'Python > 패스트캠퍼스(테크보이 워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API - 부동산 실거래 (0) | 2022.04.10 |
---|---|
파이썬 API 사용 (0) | 2022.04.10 |
파이썬 모듈/패키지 (0) | 2022.04.07 |
파이썬 자료구조 (0) | 2022.04.04 |
파이썬과 자바 (0) | 2022.04.03 |